구글의 ‘커리어 드리머’, AI를 활용해 직업 탐색 지원

구글의 ‘커리어 드리머’, AI를 활용해 직업 탐색 지원

구글이 AI를 활용해 사람들이 더 다양한 직업 기회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구글은 블로그 게시글을 통해 ‘커리어 드리머’라는 도구를 공개하며, 이 도구가 사용자의 경험, 교육 배경, 기술, 관심사를 분석해 적합한 직업을 추천해 준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도구를 활용하면 현재 및 과거 직무, 보유 기술, 경험, 교육, 관심사를 선택해 AI로 ‘커리어 정체성 진술문’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구글은 이 진술문을 이력서에 추가하거나 면접에서 자신의 경력을 설명하는 가이드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커리어 드리머’는 사용자의 배경과 관심사에 맞는 다양한 직업을 시각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특정 직업에 관심이 있다면, 해당 직업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도구는 구글의 AI 어시스턴트 ‘제미니’와 협력해 자기소개서나 이력서를 다듬고 추가적인 직업 아이디어를 탐색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다만, ‘커리어 드리머’는 Indeed나 LinkedIn과 같은 취업 플랫폼과 달리 실제 채용 공고와 연결되지는 않습니다. 대신, 다양한 직업을 빠르게 탐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여러 번의 구글 검색 없이 적합한 직업을 찾는 데 도움을 줍니다.

현재 이 도구는 미국에서만 실험적으로 제공되며, 구글이 이를 다른 국가로 확대할 계획이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구글은 블로그에서 “커리어 드리머가 모든 구직자들에게 유용한 도구가 되기를 바란다”라며, 개발 과정에서 학생, 졸업생, 성인 학습자, 퇴역 군인 및 군인 가족과 같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을 지원하는 기관들과 협력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커리어 전환을 고려하고 있거나, 단순히 새로운 기회를 탐색하고 싶다면 ‘커리어 드리머’를 사용해 보라”라고 권장했습니다.

구글은 세계경제포럼의 보고서를 인용하며,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평생 12개의 직업을 경험하며, 특히 Z세대는 6개 분야에서 18개의 직업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습니다.

구글은 특히 비전통적인 경력 경로를 가진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을 효과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는데, ‘커리어 드리머’가 이를 도울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이 도구가 사용자가 이미 보유한 기술이 다른 직업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