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핵 발전 계약 3건 발표..’클라우드 빅 3′ 모두 핵 가동 나서

아마존이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을 위해 소형 모듈 원자로(SMR) 도입에 나선다. 이로써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까지 포함, 클라우드 빅 3가 모두 최근 핵 가동을 선언했다. 

로이터는 16일(현지시간)  아마존이 SMR 기술 개발에 관한 새로운 3건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우선 워싱턴주 공공유틸리티 컨소시엄 에너지노스웨스트에 SMR 건설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에너지노스웨스트는 발전량 총 320메가와트(MW) 규모의 SMR 4기를 건설하고 소유하며, 아마존은 전력구매권을 갖는다. 2030년대 초 운영 시작이 목표다.

아마존은 이 SMR에 들어가는 첨단 원자로를 개발하는 X-에너지에도 투자한다. 2020년부터 에너지노스웨스트와 협력 중인 X-에너지는 4세대 고온가스냉각 원자로 ‘Xe-100’을 개발하고 있다. 아마존은 5억달러(약 6822억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한다.

또 버지니아주 유틸리티 회사 도미니언에너지와 기존 노스애나 원전 부지 인근에 발전량 300MW규모의 SMR을 건설하기로 했다.

매트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은 “이번 원자로 관련 계약은 향후 수십년 동안 에너지를 생성할 새로운 원자력 기술 발전을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SMR은 건설 비용을 줄이기 위해 공장에서 부품을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구축된다. 기존 원자로보다 크기가 작아 시장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발전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규모 전력이 필요한 인공지능(AI) 개발사 입장에서는 효율적인 전력 공급망 확보가 중요하다. 하지만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 에너지로는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자, 빅테크들은 탄소 배출이 없는 핵 발전에 집중하고 있다.

구글은 전날 SMR 전문 기업 카이로스파워와 전력 발전 구축 및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총 500MW 전력을 구매하기로 했다.

지난달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 최악의 원자력 사고를 냈던 펜실베이니아주 스리 마일 아일랜드 원전을 재가동한다는 소식이 화제가 됐다.

출처 : AI타임스(https://www.aitimes.com)